아뜰리에96에서 진행한 대전 스마트시티 54평형 아파트를 소개합니다.
주거공간의 인테리어는 상업공간 시공과는 다른 방식의 접근을 해야합니다. 타인을 위한 상업공간은
그 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찾아와주시는 손님을 위한 동선과 디자인을 적용하기 때문에,
컨셉과 목적성에 촛점을 맞추게 됩니다. 하여 소재의 활용에 더 자유롭고 폭 넓은 선택이 있습니다.
주거공간의 시공은 준비 단계에서부터 더 개인적인 영역으로 심층적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 공간에 기거하시는 가족들의 취향과 결 그리고 기존에 지냈을때 불편했던 점들을 대화를 통해
파악하고 디자인적인 부분이 아닌 다른 분야에 대한 기호까지도 대화의 주제로 삼아 많은 정보를 수집합니다.
그들이 삶에서 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그들의 삶이 어떻게 윤택해질지를 염두하여
설계하는 것이 아뜰리에96 인테리어&스페이스에서 추구하는 방향입니다.
보여지기에 연연하게 되면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결국은 불편한 동선을 초해할 수 있기에,
우선은 기본적인 높이와 너비 그리고 동선을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주방의 높이를 86센치미터로 설정하는 것과 92센치미터로 설계하는것은
보이기에는 비슷해보이겠지만, 요리를 하는 개인에게는 하루에도 수차례 사용하는 높이기 때문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하다못해 가방의 갯수와 넥타이나 양말을 수납하는 위치도 우리의 삶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그러한 세부적인 동선과 수납 사이즈 등이 정해지고 나서
내 마음을 가장 편하게 하는 소재의 질감과 색감을 정하게 됩니다.
내가 현재 좋아하는 기호도 중요하지만, 실증나지 않고 오랜기간 눈에 담겨도 편안하며
마음을 정돈되게 하는 소재와 질감을 선별하고 추천하여 조율하는것이 주거공간에서
디자이너와 설계자의 역할 입니다.
단열과 확장 샤시 부분에서는 전문적인 노하우와 꼼꼼한 시공이 필요하기에 그부분에서는
상업공간을 진행하며 생긴 시공법과 신소재를 적용하기도 합니다.
스위치와 손잡이 서랍레일은 눈으로 보여지는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작동감에서
실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스위치가 눌리는 느낌과 질감 그리고 서랍레일의
작동 속도와 뎀퍼의 장력은 각 브랜드마다 그 고유의 작동감이 있어서 좋은 제품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귀를 기울이고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열정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것이 주거공간 시공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스마트시티 인테리어 현장은 화려함보다는 절제된 디자인을 기반으로 클래식한 삶을 추구하는 가족들의 삶의 형태에
맞추어 시공되었습니다. 2023년에 시공한 스마트시티 아파트 현장인데, 주로 저희에게 주거공간을 의뢰하시는 분들은
사진을 비공개로 원하셔서 주거공간을 진행하는지 모르시는 고객분들이 많아서 공개할 수 있는 주거 공간을 포스팅해
봅니다 : )
![]()
![]()
![]()
![]()
![]()
![]()
![]()
![]()
![]()
![]()
![]()
![]()
![]()
![]()
![]()
![]()
![]()
![]()